2013년 1월 6일 일요일

[뉴스] G메일도 ‘사이버 사찰’ 안전지대 아니다


G메일도 ‘사이버 사찰’ 안전지대 아니다

최근 3년간 개인정보제공 정부 요청의 52% 응해문화일보 | 임정환기자 | 입력 2013.01.07 08:01 | 수정 2013.01.07 08:31

'G메일 쓰면 사이버 사찰 피할 수 있다?'

G메일 사용자들 사이에서 정부의 이메일 사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어 주목된다. 특히 최근 미국 CIA 전 국장의 불륜 스캔들이 G메일로 주고받은 은밀한 메시지가 발단이 돼 폭로되자 이같은 불안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.

지난해 11월 발표된 구글의 투명성보고서에 따르면 각국 정부로부터 사용자의 개인정보를 넘겨달라는 요청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 또 구글은 정부가 정보 제공을 요청할 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.

실제 2012년 상반기 구글이 각국 정부로부터 회원 정보 공개 요청을 받은 건수는 2만938건으로 2011년 하반기에 비해 15%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. 2010∼2012년까지 요청된 9만5103건의 개인정보 제공 요청 가운데는 52%에 응한 것으로 조사됐다.

그동안 G메일은 서버가 외국에 있어 정부의 압수수색을 피할 수 있다는 이유로 사용자들 사이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여왔다. 안철수 전 대통령 후보도 이같은 이유로 G메일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.

이와함께 구글 서비스가 기본 탑재된 안드로이드폰이 대중화되면서부터 G메일 해킹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. 안드로이드 스마트폰·태블릿PC는 구글 서비스와 메일·연락처·일정·업무 등을 서로 실시간 공유할 수 있어 상대방의 G메일 계정과 비밀번호를 알면 그 사람의 이메일은 물론 지인들의 전화번호·이메일·관계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.

업계 관계자는 "안드로이드 폰을 이용하는 데 필요한 G메일 계정 주소를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이 직접 만들어 주고 비밀번호도 설정해 주는 경우가 많다"면서 "스마트폰에서 쓰는 G메일 계정을 다른 사람이 알면 해당 스마트폰 사용자의 정보뿐 아니라 지인들의 개인정보까지 한 순간에 유출돼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"고 조언했다.

종종 발생하는 G메일 오류도 문제로 꼽힌다.

지난해 12월 발생한 장애로 전세계 G메일 사용자 5억여 명이 G메일을 비롯한 구글의 주요 서비스에 접속할 수 없었으며, 2011년에는 계정의 일부가 초기화 돼 메일이 삭제되기도 했다. G메일은 2008년부터 계속된 문제발생으로 G페일(G fail)이라는 오명으로 불리기도 했다.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